본문 바로가기
기술

스타링크란?|우주에서 인터넷을 쏜다, 일론 머스크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

by 원큰 2025. 5. 1.
반응형

요즘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설치”, “한국 도입 여부” 같은 키워드로 뉴스와 블로그 검색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Starlink)**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타링크는 무엇이며, 기존 인터넷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 이 글에서 핵심만 간단히 정리해드립니다.

1. 스타링크란?

스타링크(Starlink)는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SpaceX)가 구축 중인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지구 전역에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지상에서 약 550km~1200km 상공의 궤도에 수천 개의 위성을 띄우고, 이를 통해 인터넷을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 2019년 첫 발사 이후 현재까지 5천 기 이상의 위성 운용
  • 목표는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
  • 기존 인터넷 인프라 부족한 지역(산간, 오지, 섬 등)에 매우 유용

2. 기존 통신과의 차이점

구분 기존 유선 스타링크
전송 방식 광케이블, 기지국 인공위성
속도 빠름 (도심 위주) 약 100~200Mbps 수준
지연 속도 매우 낮음 과거 위성보다 훨씬 개선된 20~40ms
커버리지 기지국 중심 지구 전역 가능
설치 난이도 건물 인입 필요 하늘이 보이면 설치 가능

3. 스타링크의 장점

  • 인터넷 사각지대 해소: 산골, 농어촌, 선박, 항공기에서도 인터넷 가능
  • 신속한 설치: 셀프 설치형 안테나(디시), 전원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
  • 자유로운 이동성: 자동차나 캠핑카, 선박 등에서도 활용 가능 (모바일 요금제도 있음)
  • 재난/전쟁 시에도 사용 가능: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타링크가 통신망 대체 역할 수행

4. 단점과 한계

  • 요금 부담: 초기 장비비 약 7090만 원, 월 이용료 약 1215만 원
  • 도심에서는 필요성 낮음: 이미 빠른 광케이블망이 구축돼 있음
  • 날씨/장소 영향: 폭우, 눈, 장애물로 인한 간헐적 연결 불안정 가능
  • 한국에서는 일부 규제 이슈: 주파수, 외국 사업자 라이선스 문제 등

5. 한국에서도 스타링크 쓸 수 있을까?

현재 한국은 스타링크 정식 서비스 대상국은 아니지만,

  • 정부와 주파수 협의 중이며
  • 군사·재난·통신망 보완용으로 도입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일본,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일반 소비자들이 설치해 사용하고 있으며,
캠핑족, 선박 운전자, 해외 거주자 등을 중심으로 한국 내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단순한 인터넷 서비스가 아닙니다.
‘누구나, 어디서나 연결될 수 있다’는 인류의 새로운 통신 패러다임입니다.

지금은 비싸고 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조만간 우리 일상 속에 스타링크 안테나가 TV 옆에 놓이는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