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몸이 속이는 신호, 연관통에 대해 알아보자!

by 원큰 2024. 12. 16.
반응형

"왜 팔이 아픈데 심장이 문제일까?"

우리 몸은 때때로 헷갈리는 신호를 보내곤 합니다. 특히 통증은 더욱 그렇죠.

어깨가 아픈데 알고 보니 목 디스크였던 경험, 다리가 저린데 허리에 문제가 있었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겁니다. 이러한 현상을 '연관통'이라고 합니다.

연관통이란 무엇일까요?

연관통은 실제 통증이 발생한 부위가 아닌 다른 곳에서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치 몸이 우리를 속이는 것처럼 느껴지죠.

예를 들어,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흉통뿐만 아니라 왼쪽 팔이나 어깨, 턱 등으로 통증이 퍼져 나가기도 합니다. 이는 심장에서 나오는 신경과 팔이나 어깨로 이어지는 신경이 같은 신경절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연관통이 발생하는 이유는?

연관통이 발생하는 이유는 우리 몸의 신경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신경의 연결: 우리 몸의 각 기관은 신경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때, 여러 기관에서 나오는 신경이 같은 신경절에 모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기관에 문제가 생기면 그 신경절을 통해 다른 부위로 통증 신호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 뇌의 해석: 뇌는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신호를 해석하여 통증을 인지합니다. 그런데 뇌가 이러한 신호를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고, 다른 부위에서 온 신호로 오인하는 경우 연관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나타나는 연관통 부위

  • 심장 질환: 왼쪽 팔, 어깨, 턱
  • 위장 질환: 등 상부, 어깨
  • 담석: 오른쪽 어깨
  • 신장 질환: 옆구리, 허리
  • 골반 질환: 허리, 다리

연관통,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연관통은 원인 질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통증의 위치: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와 함께, 다른 부위로 통증이 퍼져 나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통증의 양상: 찌르는 듯한 통증, 묵직한 통증, 쑤시는 듯한 통증 등 통증의 양상을 자세히 설명해야 합니다.
  • 동반되는 증상: 메스꺼움, 구토, 소화불량 등 다른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연관통을 완벽하게 예방하기는 어렵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body>